본문 바로가기

식품 관련 지식/식품기술사

[기술사 2-9] 박테리오파아지의 오염증상과 방지대책

728x90
반응형

3. 박테리오파아지의 오염증상과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  *3.20(수)  

 

- 박테리오파아지는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, 식품산업에서 주요 오염원으로 떠오르고 있음

- 박테리아만을 선택적으로 감염시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식품 보존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지만, 

오염될 경우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음 

 

1) 박테리오파아지 오염증상

- 식품

: 식품의 부패, 산패, 변색, 점성변화, 냄새발생 

: 유제품의 응고, 발효지연 또는 실패

: 육류의 색 변화, 냄새발생

: 과일과 채소의 부패, 물러짐 등 

 

- 품질저하

: 식감변화, 영양성분 감소, 유통기한 단축

: 소비자 불만족, 경제적 손실

 

- 식중독 위험 증가

: 유해 박테리아 증식 가능성 증가

: 식중독 발생 위험 증가 

 

2) 박테리오파아지 오염대책

- 예방

: 생산환경 및 설비의 정결유지(정기 소독 살균, 먼지 및 이물제거)

: 작업자의 위생관리(손씻기, 작업복착용, 장비 소독)

: 원료 및 재료 관리(검수관리, 오염없는 원료 사용 등) 

: 생산공정관리(폐쇄 공정시스템 구축, 공기정화, 온습도 조절)

 

- 검사 

: 정기적인 파아지 검사 (식품 시료의 파아지 검출)

: 신속한 감염확산 방지(감염된 식품의 격리 및 처리)

 

- 제거 

: 물리적방법: 열, 자외선, 여과, 화학약품 이용한 파아지 제거

: 생물학적 방법: 특정 박테리아 공격하는 파아지 제거

: 화학적 방법: 살균제, 소독제 등을 이용한 파아지 제거 등 

 

✔︎ 특정식품의 방지대책

1)유제품

: 저온살균, 발효과정 조절, 스타터 박테리아 사용

2) 육류

: HACCP시스템 적용, 살균조리, 냉장보관

3) 과일 및 채소

: 살균세척, 숙도 과정 조절, 적절 온도 보관 및 습도유지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