3. 박테리오파아지의 오염증상과 방지대책을 설명하시오 *3.20(수)
- 박테리오파아지는 박테리아를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로, 식품산업에서 주요 오염원으로 떠오르고 있음
- 박테리아만을 선택적으로 감염시키는 특성을 이용하여 식품 보존 및 안전성을 높일 수 있지만,
오염될 경우 심각한 피해를 야기할 수 있음
1) 박테리오파아지 오염증상
- 식품
: 식품의 부패, 산패, 변색, 점성변화, 냄새발생
: 유제품의 응고, 발효지연 또는 실패
: 육류의 색 변화, 냄새발생
: 과일과 채소의 부패, 물러짐 등
- 품질저하
: 식감변화, 영양성분 감소, 유통기한 단축
: 소비자 불만족, 경제적 손실
- 식중독 위험 증가
: 유해 박테리아 증식 가능성 증가
: 식중독 발생 위험 증가
2) 박테리오파아지 오염대책
- 예방
: 생산환경 및 설비의 정결유지(정기 소독 살균, 먼지 및 이물제거)
: 작업자의 위생관리(손씻기, 작업복착용, 장비 소독)
: 원료 및 재료 관리(검수관리, 오염없는 원료 사용 등)
: 생산공정관리(폐쇄 공정시스템 구축, 공기정화, 온습도 조절)
- 검사
: 정기적인 파아지 검사 (식품 시료의 파아지 검출)
: 신속한 감염확산 방지(감염된 식품의 격리 및 처리)
- 제거
: 물리적방법: 열, 자외선, 여과, 화학약품 이용한 파아지 제거
: 생물학적 방법: 특정 박테리아 공격하는 파아지 제거
: 화학적 방법: 살균제, 소독제 등을 이용한 파아지 제거 등
✔︎ 특정식품의 방지대책
1)유제품
: 저온살균, 발효과정 조절, 스타터 박테리아 사용
2) 육류
: HACCP시스템 적용, 살균조리, 냉장보관
3) 과일 및 채소
: 살균세척, 숙도 과정 조절, 적절 온도 보관 및 습도유지
'식품 관련 지식 > 식품기술사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기술사 2-11] 식품의 안전성을 평가하는 독성시험의 종류와 검사방법 (0) | 2024.03.20 |
---|---|
[기술사 2-10] 메디푸드(특수의료용도식품)의 정의, 분류 및 활성화 방안 (0) | 2024.03.20 |
[기술사 2-8] 식품 관능검사에서 얻은 데이터들을 특성에 따라 분류한 명목 척도, 서수 척도, 간격척도 및 비율척도 (0) | 2024.03.20 |
[기술사 2-7] 아미노산의 분류와 성질 (*보완필요) (0) | 2024.03.20 |
[기술사 1-24] 시험방법 밸리데이션 파라피터 중 정밀성 (0) | 2024.03.19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