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식품 관련 지식/식품기술사

[기술사 2-8] 식품 관능검사에서 얻은 데이터들을 특성에 따라 분류한 명목 척도, 서수 척도, 간격척도 및 비율척도

728x90
반응형

2. 식품 관능검사에서 얻은 데이터들을 특성에 따라 분류한 명목 척도, 서수 척도, 간격척도 및 비율척도를

각각 예를 들어 설명하시오.    *3.20(수)

 

- 식품 관능검사에서 얻은 데이터는 다양한 특성에 따라 분류될 수 있으며, 데이터 척도의 수준에 따라

명목, 서수, 간격, 비율 척도로 분류됨

 

1) 명목척도(Normal scale)

: 카테고리 또는 그룹으로 분류하는 데 사용되는 척도로, 순서나 값의 차이가 존재하지 않음 

 

- 음식의 색: 빨강, 노랑, 초록, 파랑 등

- 음식의 맛: 단맛, 짠맛, 신맛 등

- 음식의 질감: 바삭함, 끈적거림, 경도 등 

 

2) 서수 척도(Original scale)

: 순서를 나타낼 수 있지만, 값의 차이가 의미없는 척도 

- 음식의 선호도   5점척도(매우좋음, 좋음, 보통, 싫음, 매우싫음)

- 음식의 맛 강도  1점(매우 약함)~5점(매우 강함)

- 음식의 질감 강도 1점(매우 부드러움)~ 5점(매우 딱딱함)

 

3) 간격 척도(Interval scale)

: 순서와 값의 차이가 의미있지만, 절대적인 0점이 없는 척도

- 온도: 섭씨 또는 화씨온도

- 음식의 냄새강도  1점(냄새없음) ~ 10점 (매우 강한 냄새)

- 음식의 짠맛 강도 1점(전혀 짜지 않음) ~ 10점(매우 짠맛) 

 

4) 비율 척도(Ratio Scale)

: 순서, 값의 차이, 절대적인 0점이 존재하는 척도

- 식품의 무게: 100g, 200g, 300g 등

- 식품의 부피: 10ml, 20ml, 30ml 등

- 식품의 가격: 1000원, 2000원, 3000원 등

 

위의 예시들은 일반적인 예시이며, 특정 관능검사의 설계 및 분석방법에 따라 척도수준이 달라질 수 있음

분석 전에 데이터의 척도수준을 정확하게 파악해야함 

728x90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