본문 바로가기

식품 관련 지식/식품기술사

[기술사 1-21] 식품 미세캡슐화

728x90
반응형

9. 식품에서 미세캡슐화(Microencapsulation)    *3.19(화)

 

1) 미세캡슐화 개념 및 원리 

- 미세캡슐화는 미세한 입자(캡슐) 안에 활성물질을 둘러싸는 기술 

 

2) 미세캡슐화의 장점

- 활성물질의 안정성 향상 : 빛, 산소, 습도 등 외부환경으로부터 활성물질을 보호

- 생체 이용률 향상: 활성물질의 흡수 및 소화율을 개선

- 맛, 향 개선: 쓴맛이나 불쾌한 향을 가진 물질을 캡슐화하여 개선

- 제품의 기능성 확대 : 다향한 물질을 캡슐화하여, 제품의 기능성 확대

- 제품의 유통기한 연장: 활성물질의 분해 방지하여 제품의 유통기한 연장 

 

3) 식품에서 미세캡슐화의 응용

- 영양소 강화: 비타민, 미네랄, 오메가3 지방산 등 영양소를 캡슐화하여, 식품에 영양성분 강화

- 풍미 개선: 과일, 채소, 허브 등의 향미성분을 캡슐화 하여 풍미개선

- 색소 고정: 식품 색소를 캡슐화하여 색상변화 방지, 선명도 유지

- 기능성 식품 개발: 항산화물질, 유산균, 식이섬유 등 기능성 성분을 캡슐화하여 기능성 식품 개발

- 보존성 향상: 산화에 취약한 식품성분을 캡슐화하여 보존성 향상

- 제품의 다양성 확대: 캡슐의 크기, 형태, 색상 등을 다양하게 제어하여 제품의 다양성 확대 

 

 

4) 미세캡슐화 기술

- 물리적 방법: 분무건조 

  * 식품산업에서 미세캡슐화하는 가장 오래된 방법으로 경제적이면서, 생산수율도 높음 

- 화학적 방법: 중합반응, 용매추출법

- 물리화학적 방법: 초음파 유화법, 이온성 교환법, 압착법 등 

 

5) 미세캡슐화의 미래 

- 나노기술과의 결합: 더 작고 효율적인 캡슐 개발

- 표적 전달 시스템 개발: 특정 부위에 활성물질을 전달하는 시스템 개발

- 지속 방출시스템 개발: 활성물질을 일정시간동안 지속적으로 방출하는 시스템 개발

- 친환경 캡슐소재 개발: 생분해성, 재활용 가능한 캡슐소재 개발 

 

 

 

 

*유산균의 미세캡슐화 논문에 의하면

- Encapsulation(캡슐화) 기술은 고체, 액체, 기체상의 물질을 특정 조건하에서 조절된 속도로 내용물을 방출할 수 있도록

어떤 물질이나 조직내부에 포장하는기술로, 미세한 포장단위를 미세캡슐(Microcapsule)이라함

- 미세캡슐은 불안정한 핵물질을 외부환경으로부터 보호하므로, 핵물질의 안정성을 향상시키고, 저장기간을 늘려줄 뿐만

아니라 내용물이 원하는 시점에 용출될 수 있도록 용출속도를 조절하는 목적으로 이용되고 있다. 

- 유산균, 특히 식품 분야에 있어서 미세캡슐의 이용은 다른 공업분야와 비교할때, 사용가능한 피복물질이나 용매에 제약이 있고, 처리비용, 기능성 등을 고려하여 적절한 공정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하다. 

 

05_유산균의_미세캡슐화_기술.pdf
0.47MB

 

728x90
반응형